오늘 보려 한 안국사지를 찾아 길을 옮긴다.
[안국사지]
안국사지는 안국산(일명 은봉산)에 위치한 폐사지로, 안국사는 창건된 해가 분명하지 않으며, 절 안에서 발견된 유물들을 통해 고려시대에 창건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후 조선시대에 폐사되었던 것을, 1929년 승려 임용준이 주지가 되어 다시 일으켜 세웠으나, 곧 다시 폐사되어 현재는 터만 남아있다고 한다. 절터에는 탑과 석조여래삼존입상이 보물로 보전되고 있다.
[보물 제 101호 당진 안국사지 석탑]
안국사지 정면의 이 탑은 안국사지 있는 탑으로, 탑은 아래부분인 기단부가 다른 탑들에 비해 간단하고, 2층 이상은 탑 몸돌이 없어진 채 지붕돌만 포개져 있다. 탑신은 유일하게 1층 몸돌만이 남아있는데, 각 귀퉁이에 기둥을 새기고 한 면에는 문짝 모양을, 다른 3면에는 여래좌상이 자리한다. 각 층의 지붕돌은 크게 보이며, 처마 밑은 깊이 자리한 4단의 지붕돌 밑면받침이 있다. 전체적으로 균형감이 없고, 조각도 형식적이며, 1층 몸돌이 작아서 우수한 작품이라고는 할 수 없지만 고려 중기 석탑의 특징을 알 수 있는 중요한 탑이라 한다.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탑의 뒤편에는 높이 5m에 가까운 큰 석불입상이 있다. 머리에는 커다란 사각형의 갓을 쓰고 있고, 얼굴은 몸에 비해 어색하게 큰 편이다. 불상의 몸은 대형으로 네모난 기둥같은 느낌도 준다. 몸에 팔과 손을 붙여 일반적인 석불과 다른 형태를 보인다. 오른손은 가슴에 대고 있으며, 왼손은 배에 붙여 엄지와 가운데 손가락을 맞대고 있는 모습이며, 좌우에는 본존불을 모시는 보살상이 있는데, 오른쪽 보살은 허리까지 묻혀 있고 왼쪽 보살은 머리만 파괴되었을 뿐 형식은 본존불과 같다. 세불상이 모여 있어 나름의 볼거리가 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
고려시대 충청도 지방에서 유행하던 불상양식을 잘 반영하고 있다고 한다.
'대한민국 > 충청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진 : 안국사지 매향암각 (0) | 2024.12.26 |
---|---|
당진: 면천향교 (0) | 2024.12.26 |
아산 : 온주아문, 동헌 (0) | 2024.07.11 |
아산 : 읍내동 당간지주 (0) | 2024.07.11 |
아산 : 평촌리 석조여래 입상 (0) | 2024.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