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물 5

서울 : 세종영릉 신도비,구영릉 석물,

앞으로 들어서면 구 영릉의 석물들이 줄지어 서 있어 눈길을 끈다. [구영릉 석물] 영릉은 세종대왕과 왕비 소현왕후를 모신 왕릉으로 처음에는 서초구의 태종과 원경왕후의 능인 헌릉의 서쪽에 자리하다가, 길지가 아니라는 논의로 예종 원년에 현재 영릉이 있는 여주로 옮기게 되는 데, 이 당시 능을 치장하던 석물을 옮기기 어려워 땅에 묻었고, 이를 1970년대에 발굴하여 석양 석마 망주석, 장명등, 석인상, 혼유석, 세종대왕 신도비 등 석물을 1974년 이곳 세종대왕 기념사업회로 옮겨 왔다고 한다. [문, 무인석과 석양] 왕릉에 설치 되었던 석물 하나 하나가 그 시대의 조각의 양식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니, 오랜시간 땅에 묻혀 있어 손상이 없지는 않으나, 크기나 모양이 세종대왕의 권위를 느끼게 한다. [보물 제 ..

대한민국/서울 2024.03.13

평창 - 상원사

친구가 나를 위해 텐트를 치고 기다리고 있는 정선의 캠프장으로 쉬엄쉬엄 국도로 찾아간다. 저녁 친구와 일잔에 정신을 뺏기고 혼절 후, 이른 아침 '흐르는 강물처럼' 푸라잉 낚시를 즐기는 사람들을 바라보며 휴식을 취한 후, 연휴기간 적멸보궁 답사 중인 친구를 따라 평창의 상원사로 향한다. 주차장에서 늦은 걸음에 힘이 부쳐 오는 허리를 벨트로 감싸고, 많은 이를 앞서 보내는 예의를 표하며, 멧돼지 숨소리를 내며 뒤를 따른다. 도착한 상원사는 많은 것이 생소해 보인다. 이 곳의 보물들을 탐색해 보면 그 유명한 문수보살 동자상, 문수보살상, 그리고 동종이 국보, 보물로 등재 되어있다.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에 있는 상원사는 신라 성덕왕 4년(705)에 보천과 효명의 두 왕자가 창건한 진여원(眞如院)이라는 절에서 ..

금산 용호석

如一同行 일흔 세번째 - 금산 용호석, 신안사 如一 유광하 기자 등록 2022.03.30 11:10 금산으로 향한다. 금산시내의 금산 역사문화 박물관의 넓은 주차시설에서 잠시 휴식을 취한다. 금산은 보석사가 사찰로서 자리하나 그간 이곳의 커다란 은행 나무를 보려 들른 적이 많아, 오늘은 새로운 사찰을 경험하여 보려고 한다. 금산에는 소개할 만한 보물이 임진왜란 당시 충청도 의병장으로 왜군과 싸우다 순사한 중봉 조헌의 유품이 7종 보물로 지정되어 금산의 칠백의 총에 자리한다. 다음 기회에 이들을 여행 하려한다. 보석사와 필백의 총은 가을 단풍이 물드는 시기에 오는 것이 나름 의미가 있다 생각한다. [유형문화재 용석] 금산에는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용호석이 금산의 명물로 자리한다. 금산의 용호석을 찾아 본다...

군산 발산리 보물

如一同行 마흔 아홉번째 - 군산 如一 유광하 기자 등록 2021.11.27 04:57 군산 근대문화 역사 거리는 군산항을 반경으로 1km안에 밀집한 일제강점기의 건축물과 적산 가옥들이 있는 곳으로, 이곳 군산은 일제 시대에 김제 만경평야의 곡식을 수탈해간 현장으로, 군산 근대 문화 역사 거리는 일제의 건물이 많아 있다. 구 군산세관 같은 사적이나 군산 근대역사 박물관 같은 아프지만 꼭 가보고 기억해야 할 곳 들이 있다. 굳이 우리의 문화를 둘러보는 자리에 이곳을 끼우는 것이 내키지는 않아, 두시간 정도의 걸린다는 시간을 내지 못하고 ,계획에 없었던 일이라 여기며 애써 피하고 만다. 일제시대의 것은 동국사를 본 것으로 만족하며 발길을 군산의 발산리로 향한다. 군산의 보물은 동국사 소조석가 여래 삼존상 및 ..

파주 용미리 마애불, 장명등

如一同行 마흔 한번째 - 파주 如一 유광하 기자 등록 2021.10.02 10:29 용미리마애불상, 장명등 길을 북쪽으로 잡아 파주로 향한다. 파주에 자리한 보물인 파주 용미리 마애불입상과 파주 공효공 박중순묘 장명등을 찾아나선다. 한적한 길을 택하여 국도로 의정부를 거쳐 경기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 산8 에 도달한다. 도로옆에 자리한 용암사로 입구로 들어선다. 용암사는 광탄면 용미리 장지산에 위치한다. 고양시 벽제관에서 광탄으로 향하다 해음령고개를 넘는 곳에 있다. 언제부터 사찰이 있었는 지 알 수 없지만 전설에 의하면, 고려 제 13대 선종때 보물 제 93호인 용미리 마애 이불입상을 조성한 배경과 절의 창건에 관한 설화가 전하고 있어, 11세기를 창건연대로 잡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그 기록이 없어 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