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충청남도

논산 - 궐리사

如一 2023. 10. 26. 11:26

자연에 녹아 들어 자리잡은 고택을 나와 궐리사로 향한다. 여느 사찰이라고 생각하기 쉬운 궐리사는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교촌리,  명제고택에서 멀지 않은 곳에 자리한 공자의 영정이 봉안된 사당이다. 노성 궐리사는 공자가 자란 마을인 궐리촌(闕里村)에서 유래한 명칭이라 한다. 궐리사는 강원도 강릉과 충청북도 제천에도 있었다고 하는데 현재는, 경기도 오산과 이곳만 남아 있다고 한다. 

현재는  충청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궐리사]

 

기록을 통해 보면 숙종실록에  1717년(숙종 43) 공징로·공사중 등이 재상 이경억을 따라 중국에 가서 공자의 유상(遺像) 일체를 얻어 왔으며, 1758년(영조 34) 이제후 등의 상소로 이때 가져온 공자상을 노성궐리사에 봉안하였다고 한다. 또 『읍지』에는 궐리사가 이산현(尼山縣) 북쪽 3리 지점에 있었으며, 1716년(숙종 42) 공자의 영정을 구해 노성의 이구산(尼丘山)에 사우를 건립한 후 봉안하였다고 되어 있다고 한다. 

안내문에는 1687년 송시열이 세우려고 했는데 2년뒤 정읍에서 사약을 받고 새상을 떠나 뜻을 이루지 못해 , 1716년 그의 제자들이 노성구산에 세우고, 1717년 공부자유상을 모시고, 1791년 송조 오현인 주돈이, 정호, 정이, 장재, 주희의 초상을 추가로 모시고 , 1805년 관찰사 박윤수등이 사당을 지금의 위치로 옯겼다고 전한다  현재의 건물은 당시 규모보다 축소되었는데, 일명 춘추사(春秋祠)라고도 한다.

 

 [공부자유상과 석주]

 

궐리사 옆에자리한 기념물에 눈길이 간다.

 

 [석주]

 

노성궐리사의 동쪽에 ‘궐리(闕里)’라고 음각되어 있는 높이 3.91m 석주의 지름 38cm 석주(石柱)가 있다. 석주는 각을 없앤 배흘림 4각 기둥의 형태로, 꼭대기에는 정방형 옥개석이 올려져 있다. 노성궐리사의 건립 시기와 비슷한 때에 세워졌을 것으로 추측된다고 한다. 정확한 기둥의 목적은 알 수 없으나, 아마도 권리사의 표시물, 오늘날의 기관명을 표시하는 현판과 같은 기능을 한것이라 추정한다. 궐리라는 글씨는 송시열의 제자인 권상하의 작품이라 한다. 네모의 기단위에 북두칠성의 7개별이 그려져 있고, 기단위의 부두칠성의 맨 끝별이 공자가 탄생하신 중국 곡부의 니구산을 가리키고 있고, 탑부분의 옥개석의 흠부분은 별의 빛을 의미한다는 설이 구전되고 있다고 한다.

 

 [공부자유상]

 

석주 뒤에 2002년 중국에서 구입한 높이 약 2m의 공자상이 있다.

 

  

노성궐리사의 건축 구조는 세 구역으로,  외삼문을 지나면 현송당(絃誦堂)이 있고, 현송당 뒤편의 내삼문을 지나면 사우가 있다. 궐리사의 서쪽 담장에 연결되어 모성재(慕聖齋)와 관리사와 문간채가 있다. 중건 당시보다 는 규모가 축소된 것이라 하는데, 경내에는 강당인 현송당, 내삼문, 궐리사, 모성재, 관리사, 문간채 등이 있다.

 

 [권리사 관리사]

 

아마도 재를 올리기 전 제주들의 대기장소 였을까 그 용도를 어림 짐작해 본다.

 

 [궐리사]

 

자료들에 따라 건립 시기에 차이는 있으나, 1687년(숙종 13)송시열이 궐리사 건립을 추진하고, 노론이 집권하면서 권상하 등 송시열 문인들이 스승의 유지를 받들어 1716년 노성궐리사를 신축하였다고 본다.

 

 

구석 구석 알아가는 재미, 같은 곳을 계절을 달리하여 보는 재미를 느껴본 하루라 생각한다. 문화재를 통해 옛사람 들의 삶을 알 수 있음을 보며, 다만 이 는 당시 권력이나 재력 또는 재능을 가진 자들이 남겨 놓은 것 인데, 동시대를 같이 한 많은 민초라는 사람들의 삶은 어디서 알 수 있을까 생각해 본다. 같이 만든 역사 일텐데.  잠시간  이 후의 우리의 후손 들에게 우리는 하나하나 삷의 자료가 남아질 것 같다는 생각을 해본다.  컴퓨터에 저장 되어진 많은 데이타가 남는다면, 우리의 후손은 우리의 개인의 삷도 모두 알 수 있을 듯하다. 왕의 역사가 아닌 개인의 역사도 정리 가능할 테니, 나의 이러한 여행의 기록도 남겨져 역사 속에  읽힐 수도 있다고 생가하니 여러 생각이 든다.  단순히 여름의 고택을 방문하여 미래에 대한 생각까지 하며 귀가한다.

'대한민국 > 충청남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령 - 한내 돌다리  (1) 2023.10.28
보령 - 성주사지  (1) 2023.10.28
논산 - 명제고택  (1) 2023.10.26
예산 -대련사  (1) 2023.09.21
예산 - 황새공원  (0) 2023.09.21